블로그 이미지
부엉이쌤의 나라말, 우분투, 국어교육 곽성호(자유)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1643)
일상 (26)
오늘의 명언 (300)
문화사랑방 (81)
우리말사랑 (162)
유니텔 시사한자 (10)
아하그렇구나 (47)
동영상 (0)
거꾸로교실 (3)
1교시 국어영역 (24)
꿈꾸는 정원사 (70)
부엉이쌤의 수업이야기 (17)
성공하는 사람들의 습관 (21)
컴도사 (116)
도종환의 엽서 (6)
좋은글좋은생각 (111)
잼난야그 ㅣ 심테 (1)
오픈오피스 3.2 (53)
우분투 10.04 (리눅스) (296)
2009 남목고 (39)
백업2015 (1)
Total
Today
Yesterday

首陽山(수양산) 라보며 夷劑(이제) 恨(한) 노라

  : 수양대군을 향해 바라보며, 이제(夷劑)보다 더 굳은 지조를 지녔음을 외치는 표현이다.

    수양산은 산 이름과 수양대군(세조)을 뜻하는 중의법이다.

 

 

주려 주글진들 採薇(채미)도 것가

  採薇(채미) : 고사리를 캠. 고사리를 뜯는 일

  것가 : 하는 것인가. 해서야 되겠는가

 

 

비록애 푸새엣 거신들 긔 뉘 헤 낫 

    : 고사리 녹을 받지 않겠다던 주나라의 땅에서 난 것이 아니란 말이냐?

      나 같으면 고사리 마저도 캐먹지 않겠다는 뜻으로, 지은이의 철저한 절의(節義)의 정신을 보여 준다.

     푸새엣 거 : 산과 들에 절로 나는 풀

 

 

<핵심정리>

● 갈래 : 평시조.

● 작가 : 성삼문(成三問. 1418-1456) 호는 매죽헌(梅竹軒)

             세종 때의 학자. 충신. 사육신의 한 사람. 문집으로 <성근보집>과 시조 2수가 전함.

● 성격 : 지사적. 풍자적. 절의가 

● 표현 : 풍유법. 중의법. 설의법

● 제재 : 백이(伯夷)와 숙제(叔齊)의 고사

● 주제 : 굳은 절의와 지조

● 미적범주 : 비장미와 숭고미 (동시에 드러남)

                  자아와 세계와의 불화의 상황에서 조와의 상황을 지향 함.

 

<작품해설>

  : 세조의 단종 폐위에 항거한 작자의 의지를 은유적으로 드러낸 절의가(節義歌)로, 주(周)나라의 충신 백이(伯夷)와 숙제(叔齊)를 자신과 비교하면서  자신의 굳은 의지를 강조하고 있다.

'1교시 국어영역 > 고전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14강] 정철 - 사미인곡  (0) 2009.01.08
[14강] 정철 - 사미인곡  (2) 2009.01.08
[14강] 정서 - 정과정  (0) 2009.01.08
[14강] 김진형 - 북천가  (0) 2009.01.06
[14강] 북천가(北遷歌)  (0) 2009.01.06
Posted by 곽성호(자유)
, |

십 년을 온 칼이 갑리에 우노라

關山(관산)을 라보며 로 져 보니

장부의 爲國 功勳(위국공훈)을 어 에 드리올고.


● 전문 풀이
십 년이나 갈아온 칼이 갑(칼집) 속에서 우는구나.
관문(關門)을 바라보며 그 갑 속에 든 칼을) 때때로 만져 보니,
대장부의 나라를 위한 큰 공을 어느 때에 세워 (임금께 그 영광을) 드리올꼬?


● 해설
  무인(武人)으로서 나라를 위해 공훈(功勳)을 세울 때를 기다리는, 기백에 찬 충정(表情)을 읊고 있다. 진본 청구영언에는 이 노래에 '장회(壯懷)'라는 주제를 달고 있다.


● 감상
  장수는 오직 나라를 위한 충정으로 10년을 하루같이 나라를 지켜온 것이다. 그러기에, 작가는 백의 종군(白衣從軍)이라는 수모를 당하면서까지 나라를 지키지 않았던가! 갑 속에 든 칼을 때때로 만져 보면서 나라를 위해 큰 공을 세워 임금께 영광을 드릴 날을 기다리는 것이다. 이러한 장수의 기백이 잘 나타나 있다.


● 핵심 정리
◁ 작자 : 이순신
◁ 출전 : <청구영언>
◁ 종류 : 평시조
◁ 성격 : 우국적, 의지적, 남성적,
◁ 제재 : 칼
◁ 주제 : 우국 충정(憂國衷情)과 장부의 호기

 


(출처: JR국어나라)


Posted by 곽성호(자유)
, |

朔風(삭풍)은 나무 끝에 불고 明月(명월)은 눈 속에 찬데
萬里邊城(만리 변성)에 一長劍(일장검) 짚고 서서
긴 파람 큰 한소리에 거칠 것이 없어라


몰아치는 북풍은 나뭇가지를 스치고 중천에 뜬 밝은 달은 눈으로 덮인 산과 들을 비쳐 싸늘하기 이를 데 없는데,// 이 때 멀리 떨어져 있는 변방(국경) 성루에서 긴 칼을 짚고 서서,// 휘파람 불어치며 큰 소리로 호통을 치니, 천지가 진동하는 듯한 소리에 감히 대적하는 것이 없구나.

○ 지은이

    김종서[金宗瑞 , (1390~1453). 字는 국경(國卿), 號는 절재(節齋). 

세종대왕의 명을 받들어 여진족의 변경 침입을 격퇴하였고, 육진을 설치하였으며, 압록강 . 두만강을 경계로 하는 국경선을  확정 하였다. '고려사'를 개수 하였고, '세종실록'의 편찬을 감수하기도 하였다. 지용(智勇)을 겨비한 명장으로, 왕위를 노리던 수양대군에 의하여 두 아들과 함께 피살 되었다.

 

○ 말 뜻

   * 삭풍(朔風) : 북쪽에서 불어오는 매섭고 찬바람.  북풍. "삭朔'은 북쪽을 뜻한다.

   * 만리변성(萬里邊城) : 서울에서 멀리 떨어진 국경 근처의 성. 곧 지은이가 개척하고 지키 던 두만강 가까이에 있는 6진을 가리킨다.

   * 일장검(一長劍) : 한 자루의 긴 칼.

   * 긴 파람 : 길게 내부는 휘파람.

   * 큰 한소리 : 크게 한 번 외치는 소리.

   * 거칠 것이 없에라 : 가로막을 것이 없도다 !  '~에라'는 감탄형 종결 어미다.


작 자 : 김종서(1390∼1453)

출 전 : <청구영언>

종 류 : 평시조

성 격 : 호기가(豪氣歌), 충절의 노래, 의지적, 남성적, 우국적
제 재 : 만 리 변성(邊城)

주 제 : 대장부의 호방(豪放)한 기개(氣槪)


[이해와 감상] 작자는 44세에 함경도 관찰사가 되어 야인(野人)을 물리치고 육진을 설치, 두만강을 경계로 국경선을 확정시켰다. 초장에서 '삭풍(朔風)'과 '명월(明月)'을 對句적 표현으로 겨울 밤 변방의 분위기를 제시하고, 중장에서의 '일장검'은 장부가(丈夫歌)의 호기(豪氣)를 상징적으로 표현했으며, 종장에서는 통쾌한 장부의 기상을 직설적으로 노래했다.


○ 감 상

    살을 에는 듯한 차가운 북풍은 앙상한 나뭇가지에 윙윙 불어대고, 겨울 밤의 밝은 달은 하얀 눈으로 뒤덮인  대지를 차갑게 비춘다.  서울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국경 지대에 있는 외딴 성에서 큰 칼을  힘주어 짚고 서서, 북방을 노려보며 긴 휘파람과 크게 한번 질러 보는 고함 소리에 거칠 것이 아무 것도 없구나 !

 

   북풍이 나뭇가지를 울리고, 흰 눈이 온 천지를 뒤덮은 겨울밤 달 밝은 황량함에,  변경을 지키며 오랑케를 노려보고있는 용맹한 장수의 모습이 눈에 선하다. 감격적인 체험이 낳은 시는 이다지도 절절한 것인가. '호기가(豪氣歌)'라는 이름이 오히려 부족한 느낌이다.   


Posted by 곽성호(자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