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익현 - 유한라산기(遊漢拏山記)
최익현(崔益鉉 : 1833 순조 33∼1906)
한말의 애국지사.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찬겸(贊謙). 호는 면암(勉庵). 경기도 포천 출신. 대(垈)의 아들.
6세 때 입학하여 9세 때 김기현(金琦鉉) 문하에서 유학의 기초를 공부하였고, 14세 때 벽계(蘗溪)에 은퇴한 성리학의 거두 이항로(李恒老)의 문하에서 《격몽요결(擊蒙要訣)》·《대학장구(大學章句)》·《논어집주(論語集註)》 등을 통하여 성리학의 기본을 습득하였으며, 이항로의 '애군여부 우국여가(愛君如父 憂國如家)'의 정신, 즉 애국과 호국의 정신을 배웠다.
1855년(철종 6) 명경과에 급제하여 승문원부정자로 출사한 이후 순강원수봉관(順康園守奉官)·사헌부지평·사간원정언·신창현감(新昌縣監)·성균관직강·사헌부장령·돈녕부도정 등의 관직을 두루 역임하고 1870년(고종 7)에 승정원 동부승지를 지냈다. 수봉관·지방관·언관으로 재직시 불의와 부정을 단호히 척결하였으며, 1868년에는 경복궁(景福宮) 재건을 위한 대원군의 비정을 비판, 시정을 건의하는 상소를 올리기도 하였다. 이 상소를 통해 우리는 그의 강직성과 우국 애민 정신을 엿볼 수 있다. 또, 1873년에는, 1871년 신미양요를 승리로 이끈 대원군이 그 위세를 몰아 만동묘(萬東廟)를 비롯한 많은 서원의 철폐를 단행하자, 그 시정을 건의하는 <계유상소(癸酉上疏)>를 올리기도 하였다. 이 상소를 계기로 대원군의 10년 집권이 무너지고, 고종의 친정이 시작되었다.
고종의 두터운 신임을 받은 면암은 호조참판에 제수되었으나, 그를 시기하는 권신들은 대원군 하야를 부자이간의 행위로 규탄하였다. 이에 <사호조참판겸진소회소(辭戶曹參判兼陳所懷疏)>를 올려 민씨 일족의 옹폐를 비난하였다. 그러나 상소의 내용이 과격, 방자하다는 이유로 제주도로 유배되었다. 1873년부터 3년간의 유배 생활을 청산하면서 <유한라산기>를 지었다. 이후, 관직 생활을 청산하고 우국 애민의 위정 척사의 길을 택하였다. 그 첫 시도는 1876년 <병자지부소(丙子持斧疏)>를 올려 일본과 맺은 병자수호조약을 결사 반대하는 데서 출발하였다. 이 상소의 여파로 흑산도로 유배되었으나 그 신념과 지조는 꺾지 않았다. 유배에서 풀려난 뒤 1895년 을미사변이 일어날 때까지 약 20년 동안 침묵을 지켰다. 이 시기는 일본과의 개국 이래 임오군란·갑신정변·동학운동·청일전쟁 등 여러 사건이 연속적으로 일어났던 때였다. 기나긴 침묵 속에서 그는 역사적 위기 상황을 극복할 방법, 항일 투쟁의 방향을 모색하고 있었던 듯하다. 이후 그는 언론 수단에 의한 개인적·평화적인 방법이 아닌 집단적·무력적인 방법을 선택한다. 위정 척사 사상도 배외적인 국수주의로부터 자주 의식을 바탕으로 한 민족주의로 심화되었다.
이러한 그의 항일 구국 이념은 1895년 을미사변의 발발과 단발령의 단행을 계기로 폭발하였다. 오랜만의 침묵을 깨고 <청토역복의제소(請討逆復衣制疏)>를 올려 항일 척사 운동에 앞장섰다. 이 때 여려 해에 결쳐 고종으로부터 호조판서·각부군선유대원(各府郡宣諭大員)·경기도 관찰사 등 요직에 제수되었으나 사양하였다. 그는 오로지 시폐의 시정과 일본을 배격할 것을 상소하는 것으로 그 소명을 다하고자 하였다. 당시 올린 상소는 1896년 <선유대원명하후진회대죄소(宣諭大員命下後陳懷待罪疏)>, 1898년 <사의정부찬정소(辭議政府贊政疏)>와 재소, <사궁내부특진관소(辭宮內府特進官疏)>와 재소, 1904년 <사궁내부특진관소>의 삼소·사소, <수옥헌주차(漱玉軒奏箚)>, <궐외대명소(闕外待命疏)>와 재소·삼소·사소 등이 있다. 1905년 을시조약이 체결되자 곧바로 <청토오적소(請討五賊疏)>와 재소를 올려서 조약의 무효를 국내외에 선포할 것과 망국조약에 참여한 박제순(朴齊純) 등 오적을 처단할 것을 주장하였다. 이 사건을 계기로 언론 수단에 의한 위정 척사 운동은 집단적·무력적인 항일 의병 운동으로 전환되었다.
1906년 윤4월 전라북도 태안에서 궐기하고, <창의토적소(倡義討賊疏)>를 올려 의거의 심정을 피력하고 궐기를 촉구하는 <포고팔도사민>의 포고문을 돌리고 일본 정부에 대한 문죄서 <기일본정부(寄日本政府)>를 발표하였다. 74세의 고령에도 불구하고 의병을 일으켜 목숨이 다하는 순간까지 진충보국(盡忠報國)하고자 하였으나 끝내 뜻을 이루지 못하고 적지 대마도에서 옥사하였다. 그러나 그의 우국 애민 정신과 위정 척사 사상은 한말의 항일 의병 운동과 일제 강점기의 민족 운동·독립 운동의 이념으로 계승되었다.
그의 학문은 성리학에 기본을 두고 있는 이항로의 학문을 이어받아, 이기론(理氣論)과 같은 형이상학적인 관심보다는 애국의 실천 도덕과 전통 질서를 수호하는 명분론에 더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므로 그의 이기론은 이항로의 설을 조술하고 스승의 심전설(心專說)을 계승하였을 뿐이다. 그러나 그의 사상과 이념은 역사적 현실에 바탕을 둔 실천성을 지니고 있었기 때문에 구국 애국 사상으로, 또 민족주의 사상으로 승화, 발전할 수 있었다.
저서는 《면암집》40권, 속집 4권, 부록 4권이 있다.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이 추서되었다. 제향은 모덕사(慕德祀 : 충남 청양군)와 포천·해주·고창·곡성·순화·무안·함평·광산·구례 등에서
봉향되고 있다.
유한라산기(遊漢拏山記)
<해제>
이 글은 최익현이 제주도 유배 생활에서 풀려나던 해 봄에 한라산을 유람하고 그 진면목을 밝혀 적은 한라산 탐승기로 《면암집》권 20 '기(記)' 부분에 한문으로 실려 있다.
<본문>
최익현(崔益鉉)
민태식(閔泰植) 옮김
고종(高宗) 10년 계유년(癸酉年) 겨울에, 나는 조정에 죄를 지어 탐라(耽羅)로 귀양을 가게 되었다. 하루는, 섬사람들과 산수(山水)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누었는데, 내가 말하기를,
"한라산의 명승은 온 천하가 다 아는 바인데도 읍지(邑誌)를 보거나 사람들의 말을 들어 보면 구경한 이가 아주 적으니, 이는 못 가는 것인가, 아니면 가지 않는 것인가?"
하니, 그들이 대답하기를,
"이 산은 4백 리에 뻗쳤고, 하늘에 닿을 듯 높이 솟아서, 5월에도 눈이 녹지 않습니다. 그뿐만 아니라, 그 정상에 있는 백록담(白鹿潭)은 선녀들이 하늘에서 내려와 노는 곳으로, 아무리 맑은 날이라 할지라도 항시 흰 구름이 끼어 있습니다. 이 곳이 바로 세상에서 영주산(瀛洲山)이라 일컫는 곳으로서, 삼신산(三神山)의 하나에 들어가는데, 어찌 범상한 사람들이 구경할 수 있겠습니까?"
하므로, 이 말을 듣고 자신도 모르게 놀랐다.
그 후, 고종 12년 을해년(乙亥年) 봄에, 나라의 특별한 은전(恩典)을 입어 귀양살이에서 풀려나게 되었다. 그래서 한라산을 찾을 계획을 하고, 이기남(李琦男) 선비에게 길을 안내해 줄 것을 부탁하였다. 일행은 어른이 10여 명에 짐꾼 5, 6명이 뒤를 따랐다.
3월 27일, 남문(南門)을 출발하여 10리쯤 가니 길가에 시냇물이 흐르는데, 이는 한라산 북쪽 기슭에서 흘러내리는 물들이 모여서 바다로 들어가는 시내였다. 언덕 위에 말을 세우고 벼랑을 따라 수십 보를 내려가니, 양쪽 가에 푸른 암벽이 깎아지른 듯이 서 있고, 그 가운데에 큰 돌이 문 모양으로 걸쳐 있는데, 그 길이와 넓이는 수십 인을 수용할 만하며, 높이도 두 길은 되어 보였다. 그 양쪽 암벽에는 '방선문등영구(訪仙門登瀛丘)'란 여섯 자가 새겨져 있고, 또 옛 사람들의 제품(題品)들이 있었는데, 바로 한라산 10경(景) 중의 하나이다. 문의 안팎과 위아래에는 맑은 모래와 흰 돌들이 잘 연마(鍊磨)되어 그 윤기가 사람의 눈을 부시게 하였고, 수단화(水團花)와 철쭉꽃이 좌우로 나란히 심어져 있는데, 바야흐로 꽃봉오리가 탐스럽게 피어나고 있어, 이 또한 비길 데 없는 아름다운 풍경이었다. 나는 이런 풍경에 취해 한참 동안 발걸음을 옮길 수가 없었다.
다시 언덕으로 올라와 동쪽으로 10리쯤 가니 죽성(竹城)이라는 마을이 나오는데, 즐비(櫛比)한 인가가 대나무 숲에 둘러싸여 있었다. 날이 저물어 어느 큰 짐에 숙소를 정했다. 하늘이 컴컴하고 바람이 자는 게 비가 올 것 같아, 잠을 이루지 못하고 뜬눈으로 밤을 새웠다.
새벽에 일어나자마자 짐꾼에게 날씨를 물었더니, 어제 초저녁보다 오히려 더 심하다는 대답이었다. 또, 바로 돌아갔다가 나중에 다시 오는 게 좋겠다는 의견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나는 술 한 잔과 국물 한 모금을 마신 다음, 일행의 의사를 어기고 말을 채찍질하여 앞으로 나아갔다. 돌길은 험하고도 좁았다. 5리쯤 가니 큰 언덕이 나타나는데, 이름이 중산(中山)으로, 대개 관원들이 산을 오를 적에 말에서 내려 가마로 바꾸어 타는 곳이었다.
여기에 이르니, 갑자기 검은 구름이 걷히고 햇빛이 비치어 바다와 산들이 차례로 자태를 드러내기에, 짐꾼을 시켜 말을 돌려 보내고, 가벼운 옷차림으로 짚신에 지팡이를 짚고서 올라갔다. 집 주인 윤규환(尹奎煥)은 다리가 아파 돌아가고, 나머지는 모두 일렬로 내 뒤를 따랐다.
한 줄기 작은 길이, 나무꾼과 사냥꾼들의 내왕으로 약간의 형태는 있었지만, 갈수록 험준하고 좁아서 위태로웠다. 구불구불 돌아서 20리쯤 가니, 짙은 안개는 다 걷히고 날씨가 활짝 개었다. 그러자 일행 중 당초에 가지 말자던 사람들이 날씨가 좋다고 하므로, 나는
"이 산 구경을 중도에서 그만두자고 한 것이 모두 그대들이었는데, 어지 조용히 삼가지 않는가?"
하였다. 여기서 조금 앞으로 나가니, 바위 틈에서 물줄기가 쏟아져 나와 굽이굽이 아래로 흘러간다. 평평한 돌 위에 잠시 앉아 갈증을 푼 뒤에, 물줄기를 따라 서쪽으로 갔다. 비탈진 돌길을 넘고 돌아서 남쪽으로 가니, 고목을 덮은 푸른 등나무 덩굴과 어지럽게 우거진 숲이 하늘을 가리고 길을 막아서 앞으로 갈 수가 없을 정도였다. 이런 데를 10여 리쯤 가니, 가느다란 갈대가 숲을 이루었는데, 그 아름다운 기운이 사람을 엄습해 왔으며, 또 앞도 확 트여서 바라볼 만하였다.
다시 서쪽으로 1리쯤 가니, 우뚝 솟은 석벽이 대(臺)처럼 서 있는데, 뾰쪽하게 솟은 것이 수천 길은 되어 보였다. 이는 삼한(三韓) 시대의 봉수(烽燧) 터라고 하지만, 근거가 될 만한 것이 없고, 또 날이 저물까 염려되어 가 보지 못하였다.
다시 몇 걸음 더 나아가니, 가느다란 골물이 흐른다. 물줄기를 따라 위로 올라가니 빙설(氷雪)이 가파른데, 잡목들이 뒤엉켜 있어 머리를 숙이고 기어가느라고 몸의 위험이나 지대가 높은 것을 깨닫지 못하였다. 이렇게 기다시피 6, 7리를 가니 비로소 상봉(上峯)이 보이는데, 흙과 돌이 서로 섞이고 평평하지도 비탈지지도 않으며 원만(圓滿)하고 풍후(yn厚)한 봉우리가 가까이 이마 위에 있었다. 거기에는 초목은 나지 않았고 오직 파릇한 이끼와 덩굴만이 바위에 깔려 있어서 앉아 쉴 만하였으며, 전망이 넓게 트여서 해와 달을 옆에 끼고 비바람을 다스릴 만할 뿐 아니라, 의연히 세상의 일을 잊고 홍진(紅塵)에서 벗어난 뜻을 간직하고 있었다.
얼마 후, 짙은 안개가 몰려오더니 서쪽에서 동쪽으로 산등성이를 휘감았다. 나는 괴이하게 여겼지만, 이 곳까지 와서 한라산의 진면목을 보지 못하고 돌아간다면 공든 탑이 일시에 무너지는 골이 되고, 섬사람들의 웃음거리가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어, 마음을 굳게 먹고 곧장 수백 보를 전진해 가서 북쪽 가의 우묵한 곳에 당도하여 상봉(上峯)을 바라보았다. 여기에 이르러, 갑자기 가운데가 움푹 파인 구덩이를 이루었는데, 이것이 이른바 백록담(白鹿潭)이었다. 주위가 1리를 넘고 수면이 담담(淡淡)한데, 그 반은 물이고, 반은 얼음이었다. 홍수나 가뭄에도 물이 붇거나 줄지를 않는다 하는데, 얕은 곳은 무릎까지, 깊은 곳은 허리까지 찼으며, 맑고 깨끗하여 한 점의 티끌도 없으니, 은연(隱然)히 신선이 사는 듯하였다. 사방을 둘러싼 산각(山角)들도 높고 낮음이 다 균등하였으니, 참으로 천부(天府)의 성곽(城郭)이었다.
석벽에 매달려 백록담을 따라 남쪽으로 내려가다가, 털썩 주저앉아 잠시 동안 휴식(休息)을 취하였다. 모두 지쳐서 피곤(疲困)했지만, 서쪽을 향해 있는 봉우리가 이 산의 정상이었으므로 조심스럽게 조금씩 올라갔다. 그러나 따라오는 사람은 겨우 셋뿐이었다. 이 봉우리는 평평하게 퍼지고 넓어서 그리 까마득하게 높게 보이지는 않았지만, 위로는 별자리를 바라보고 아래로는 세상을 굽어보며, 좌로는 해돋이를 바라보고 우로는 서양(西洋)을 접했으며, 남으로는 소주(蘇州 : 쑤저우), 항주(杭州 : 항저우)를 가리키고, 북으로는 내륙(內陸)을 끌어당기고 있었다. 멀리 보이는 섬들이 옹기종기, 큰 것은 구름장만하고 작은 것은 달걀만하게 보이는 등 풍경이 천태 만상이었다.
'맹자'에 "바다를 본 자는 바다 이외의 물은 물로 보이지 않으며, 태산에 오르면
천하가 작게 보인다." 했는데, 성현의 역량을 어찌 우리가 상상이나 할 수 있겠는가? 또, 소동파(蘇東坡)에게 이 산을 먼저
보게 하였다면, 그의 이른바
허공에 더 바람을 다스리고, [憑虛御風]
신선이 되어 하늘에 오른다. [羽化登仙]
라는 시구가 적벽(赤壁)에만 알맞지는 않았을 것이다. 주자(朱子)가 읊은
낭랑하게 읊조리며 축융봉을 내려온다. [朗吟飛下祝融峯]
라는 시구를 외며 백록담 가로 되돌아오니, 짐꾼들이 이미 밥을 정성스럽게 지어 놓았다. 밥을 먹고 물을 마시는데, 물맛이 어찌나 달고 맛있던지, 나는 일행을 둘러보며 말하기를,
"이 맛은 금장옥액(金漿玉液)이 아니냐?"
하였다. 북쪽으로 1리쯤 떨어진 곳에 혈망봉(穴望峯)과 옛 사람들의 이름을 새긴 것이 있다 하는데, 해가 기울어 가 보지 못하고, 산허리에서 옆으로 걸어 동쪽으로 석벽을 넘는데, 벼랑에 기미처럼 붙어서 5리쯤 내려갔다. 다시 산남(山南)으로부터 서지(西趾)로 돌아들다가 안개 속에서 우러러보니, 깎은 듯이 하늘에 치솟아 있는데, 기괴하고 형형색색인 것이 석가여래가 가사(袈裟)와 장삼(長衫)을 입은 형용이었다.
20리쯤 내려가니 이미 황혼(黃昏)이 되었다. 내가
"듣건대, 여기서 인가까지는 매우 멀다 하여, 밤 공기도 그리 차지 않으니, 가다가 길거리에 피곤해서 쓰러지는 것보다 차라리 노숙하고서 내일 홀가분하게 가는 것이 어떤가?"
하니, 일행 모두가 좋다고 하였다. 바위에 의지해서 나무를 걸치고 모닥불을 피워 따뜻하게 한 뒤에, 앉은 채로 한잠 자고 깨어 보니, 벌써 날이 새어 있었다. 밥을 먹고 다시 출발했는데, 어젯밤 이슬이 마르지 않아 옷과 버선이 다 젖었다. 얼마 후, 길을 잃어 이리저리 방황하였는데, 그 고달픔은 이루 말할 수 없었으나, 그래도 아래로 내려가는 길이어서 어제에 비하면 평지를 가는 것이나 다름없었다.
다시 10리를 내려와서 영실(瀛室)에 이르니, 높은 봉우리와 깊은 골짜기에 우뚝우뚝한 괴석(怪石)들이 웅위(雄偉)하게 늘어서 있는데, 모두가 부처의 형태였으며, 백이나 천 단위로는 헤아릴 수사 없었다. 여기가 바로 천불암(千佛巖) 또는 오백 장군(五百將軍)이라고도 불리는 곳으로, 산남(山南)에 비하면 이 곳이 더욱 기이하고 웅장하였다. 산 밑에 시내 하나가 바다로 흘러들어가고 있었는데, 다만 길가에 있기 때문에 얕게 드러나 있었다. 풀밭에 앉아서 얼마쯤 쉬다가 이내 출발하여 20리를 걸어 서동(西洞)의 입구를 나오니, 영졸(營卒)들이 말을 끌고 와 기다리고 있었다. 인가에 들어가서 밥을 지어 요기(療飢)를 하고, 날이 저물어서 성으로 돌아왔다.
백두산이 남으로 4천 리를 달려 영암(靈巖)의 월출산(月出山)이 되고, 다시 남으로 달려 해남(海南)의 달마산(達摩山)이 되었으며, 달마산은 또 바다로 5백 리를 건너뛰어 추자도(楸子島)가 되었고, 다시 5백 리를 건너서 이 한라산이 되었다고 한다. 이 산은 서쪽으로 대정현(大靜縣)에서 일어나 동으로 정의현(旌義縣)에서 그치고, 가운데가 솟아올라 정상이 되었는데, 동서의 길이가 2백 리이고, 남북의 거리가 1백 리를 넘는다.
어떤 이는 이 산이 지극히 높아 하늘의 은하수를 잡아당길만해서 한라산이라 부른다고 하고, 어떤 이는 이 산의 성품이 욕심이 많아서, 그 해 농사의 풍흉(yn凶)을 관장(官長)의 청탁(淸濁)으로 알아서, 외래 선박이 정박(碇泊)하면 번번이 비바람으로 패실하게 하므로 탐산(耽山)이라 이른다고 하며, 또 어떤 이는 이 산의 형국이 동쪽은 말, 서쪽은 곡식, 남쪽은 부처, 북쪽은 사람의 형상이라고 하나, 다 근거(根據) 없는 말들이다. 그 중에서 오직 형국설(形局說)만을 가지고 그 유사점을 찾아본다면, 산세가 구부러졌다가 펴지고 높았다가 낮아지는 것이 마치 달리는 듯한 것은 말과 유사하고, 위암(危巖)과 층벽(層壁)이 죽 늘어서서 두 손을 마주잡고 읍하는 듯한 것은 부처와 유사하며, 평평하고 광막한 곳에 산만하게 활짝 핀 듯한 것은 곡식과 유사하고, 북을 향해 껴안은 듯한 곱고 수려한 산세는 사람과 유사하다. 그래서 말은 동쪽에서 생산되고, 곡식은 서쪽이 잘 되며, 불당은 남쪽에 모였고, 인걸은 북쪽에 많다던가…….
'1교시 국어영역 > 고전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13강] 조위 - 만분가 (0) | 2009.01.03 |
---|---|
[13강] 조위 - 만분가 (0) | 2009.01.03 |
[13강] 홍순학 - 연행가(燕行歌) (0) | 2008.12.31 |
[13강] 김인겸 - 일동장유가 (0) | 2008.12.30 |
[12강] 이순신 - 십 년을 가온 칼이 (0) | 2008.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