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부엉이쌤의 나라말, 우분투, 국어교육 곽성호(자유)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1643)
일상 (26)
오늘의 명언 (300)
문화사랑방 (81)
우리말사랑 (162)
유니텔 시사한자 (10)
아하그렇구나 (47)
동영상 (0)
거꾸로교실 (3)
1교시 국어영역 (24)
꿈꾸는 정원사 (70)
부엉이쌤의 수업이야기 (17)
성공하는 사람들의 습관 (21)
컴도사 (116)
도종환의 엽서 (6)
좋은글좋은생각 (111)
잼난야그 ㅣ 심테 (1)
오픈오피스 3.2 (53)
우분투 10.04 (리눅스) (296)
2009 남목고 (39)
백업2015 (1)
Total
Today
Yesterday

'마디다'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09.10.19 우리말, '가차없다'

삶과 함께하는 우리말 편지

2009. 10. 19.(월요일)

따라서,
'가차 없다'고 하면 임시로 빌어 오는 것도 안 된다는 것이니,
전혀 고려의 대상이 되지 못한다는 뜻으로 쓰이게 된 겁니다.
그 뜻이 더 넓어져 "사정을 봐 주거나, 용서가 없다."는 뜻으로도 쓰입니다.


안녕하세요.

아침에 일터에 나오면서 라디오를 들었습니다.
이번에 가을 개편이 있었는데 혹시 맘에 들지 않는 게 있으면 가차없이 말씀을 해 달라더군요.(7:40, MBC)
오늘은 '가차'를 알아보겠습니다.

가차는 거짓 가(借) 자와 빌릴 차(借) 자를 써서 "정하지 않고 잠시만 빌리는 것"이라는 뜻입니다.
국립국어원에서 '임사로 빌림'으로 다듬었습니다.(저는 별로 맘에 들지 않습니다.)

사실 이 '가차'는
한자의 구성과 쓰임에 관한 여섯 가지 분류에서 왔습니다.
상형(象形), 지사(指事), 회의(會意), 형성(形聲), 가차(假借), 전주(轉注) 가운데 하나가 가차입니다.
여기에 쓰인 가차는
어떤 뜻을 나타내는 한자가 없을 때 뜻은 다르나 음이 같은 글자를 빌려 쓰는 방법을 뜻합니다.

來, 이 한자가 무엇을 닮았나요?
요즘 들판에 나가면 볼 수 있는 벼 이삭을 닮지 않았나요?
이 글자는 곡식의 이삭을 뜻하는 상형문자입니다.
그러나 지금은 '오다'를 뜻하는 글자로 쓰이고 있습니다.
오다는 뜻의 한자가 없어서 음이 같은 來자에 '오다'라는 뜻을 빌려 쓴 겁니다.
바로 '가차'한 거죠.
산스크리트어의 [Buddha]를 글자의 본래 뜻과 상관없이 발음만 따와
'佛陀'(부처)로 쓴 것도 가차의 한 보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차 없다'고 하면 임시로 빌어 오는 것도 안 된다는 것이니,
전혀 고려의 대상이 되지 못한다는 뜻으로 쓰이게 된 겁니다.
그 뜻이 더 넓어져 "사정을 봐 주거나, 용서가 없다."는 뜻으로도 쓰입니다.

날씨가 추워지는 가을 다가옵니다.
지난가을에 별로 입지 않는 옷을 '가차 없이' 버렸더니,
이번 가을에 입을 옷이 별로 없네요. ^^*

오늘도 많이 웃으시고,
이번 주도 좋은 생각 많이 하시면서 보내시길 빕니다.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보태기)
1.
'가차'는 명사이고, '없다'는 '없다'는 용언이니까 이 둘은 띄어 쓰는 것이 바릅니다.
'가차 없다'가 맞죠.
그러나
한글 맞춤법 제47항에 보면,
연결어미 '-아/어'로 이어진 보조 용언 구성은 띄어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붙여 쓰는 것도 허용한다고 나와 있습니다.
따라서 '가차없다'가 비록 사전에 한 낱말로 오르지는 못했지만,
'가차없다'고 붙여 쓰셔도 됩니다.

2.
'지난가을'은 한 낱말로 사전에 올라 있으니 붙여 쓰고,
'이번 가을'은 한 낱말로 사전에 오르지 못했으니 띄어 써야 바릅니다.
'지난주/이번 주'고 같은 경우입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편지입니다.






[마디게 자라는 식물]

안녕하세요.

제가 일하는 농촌진흥청에는 농업관련 전문가 들이 많습니다.
벼, 콩, 사과, 보리, 농약, 수박, 채소, 소, 말, 바이오에너지, 농촌생활, 기계 따위를 전공으로 공부하신 분들이 모여 있습니다.
농업 문제는 뭐든지 해결할 수 있습니다. ^^*
이분들은 전공이 이렇게 다르다 보니 책상 앞에 두는 식물도 다릅니다.
저 같은 기계쟁이는 책상 위에 꽃이 없고,
벼나 콩을 다루는 분들의 책상 위에는 항상 식물이 자랍니다.
그것도 무럭무럭 잘 자랍니다.

농약을 전공한 사람 앞에 꽃을 두면 마디자라는데,
콩을 전공한 사람 앞에 그 꽃을 두면 잘도 자랍니다.
참 신기합니다.
사람의 기가 통하는지...^^*

오늘은 '마디다'는 낱말을 소개해 드릴게요.
그림씨(형용사)로 "자라는 속도가 더디다."는 뜻입니다.
나무가 마디게 자라다처럼 씁니다.
"쉽게 닳거나 없어지지 아니하다."는 뜻도 있습니다.

앞에서 푼 대로
제 앞에서는 마디 자라던 꽃도,
식물을 다루는 사람 앞에만 가면 무럭무럭 잘 자랍니다.
아마도 식물도 사람의 마음을 읽나 봅니다. ^^*

우리말123

'우리말사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말, '어느'와 '어떤'  (0) 2009.11.12
'사시나무 떨듯'의 원리  (0) 2009.11.10
우리말, 신경 끄다  (0) 2009.09.25
우리말, '옛날'과 '예전'  (0) 2009.09.24
우리말, 궁글다  (0) 2009.09.16
Posted by 곽성호(자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