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부엉이쌤의 나라말, 우분투, 국어교육 곽성호(자유)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1643)
일상 (26)
오늘의 명언 (300)
문화사랑방 (81)
우리말사랑 (162)
유니텔 시사한자 (10)
아하그렇구나 (47)
동영상 (0)
거꾸로교실 (3)
1교시 국어영역 (24)
꿈꾸는 정원사 (70)
부엉이쌤의 수업이야기 (17)
성공하는 사람들의 습관 (21)
컴도사 (116)
도종환의 엽서 (6)
좋은글좋은생각 (111)
잼난야그 ㅣ 심테 (1)
오픈오피스 3.2 (53)
우분투 10.04 (리눅스) (296)
2009 남목고 (39)
백업2015 (1)
Total
Today
Yesterday
1.언어영역 문제지 
2.해설지(전과목) 
3.듣기파일
Posted by 곽성호(자유)
, |
윈도우 로그인 암호를 잃어 버렸을때  
요즘과 같은 디지털시대에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사용하지 않는 분들은 없습니다. 컴퓨터에 로그인 할때부터 각종 웹사이트를 돌아다니다보면 하루에 한두번 이상 로그인을 하게 됩니다.

수많은 컴퓨터(서버)를 관리를 하시는 분들은 모든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패스워드를 분실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물론 매일 사용하는 본인의 컴퓨터의 비밀번호도 분실하는 분들도 계십니다.


윈도우 로그인 암호를 분실하였을 때에는 웹사이트 비밀번호를 잊어버렸을때와 달리 본인 이외에는 누구도 모르기에 해결할 수가 없다고 생각하여 포맷을 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이제는 포맷하지 마시고 직접 해결해보세요. 모든 운영체제에는 암호를 저장해놓은 파일이 있습니다. 이 파일을 제거해주시면 암호가 사라지게 되어 있습니다. 생각보다 암호를 없애는것은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 95, 98, me등의 운영체제는 윈도우 디렉토리 안에 *.pwl 파일로 되어 있으며, 윈도우 XP, 2000등의 경우에는 윈도우 디렉토리안에 system32config 폴더안에 sam 파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이 파일을 삭제해주면 암호는 사라지게 되어 있습니다.

단, *pwl 파일이나 sam 파일은 시스템 파일로 속성이 되어 있기 때문에 그냥 삭제는 불가능하며, attrib 명령어를 사용해서 일반속성으로 바꾸어준뒤에 삭제를 하셔야 합니다.

삭제하실때에는 멀티부팅이 가능한 경우에는 다른 OS로 부팅한 후에 지우면 됩니다. NTFS로 파일시스템이 구성되어 있고 멀티부팅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CD나 디스켓으로 부팅한이후 콘솔모드에서 직접 지우면 됩니다.

만약 컴퓨터가 두대 있을때에는 하드를 다른 컴퓨터의 슬레이브 하드로 인식을 하게 한 이후에 지우면 되고, FAT로 파일시스템이 구성되어 있다면 DOS부팅디스크로 도스로 부팅한 후에 지울 수도 있습니다.

삭제방법 예제

■ 윈도우 9X 시리즈
attrib -R -A -S -H c:windows*.pwl
del c:windows*.pwl

■ 윈도우 2K 시리즈
attrib -R -A -S -H c:windowssystem32configsam
del c:windowssystem32configsam

※ 이 방법을 이용하여 다른 사람의 PC를 해킹하는 방법으로 사용하면 안됩니다.
Posted by 곽성호(자유)
, |



윈도우에는 Alt+Tab을 이용한 프로그램간의 창간 이동이 가능하지만(비스타부터는 에어로 기능이 있습니다만..),

MAC에는 익스포제라는걸 이용해 창간이동이 가능합니다.

이 게 상당히 편리하더군요.. 그리고 속도도 빠르구요..어쨌든 MAC의 디자인이 워낙 이쁜게 많아서 그런지 이렇게 MAC을 따라한 프로그램들을 설치하면 MAC처럼 XP를 사용할수 있습니다. 아쉽게도 Vista는 일부 프로그램이 지원하지 않아 XP로만 하실수 있습니다.


다음은 MAC처럼 꾸미는데 사용된 프로그램들입니다.(Reflex vision을 빼면 다 프리웨어입니다.)

1. [FlyakiteOSX 3.5] - 다운로드 링크 : http://osx.portraitofakite.com/index2.htm (상단 다운로드 메뉴를 누르시면 됩니다.)

2. [Rocket Dock 1.3.5] - (한글판)다운로드 링크 : http://rocketdock.com/download 

3. [Rocket Dock 애드온 Stack Docklet] - 다운로드 링크 : http://rocketdock.com/addons/docklets/3655

4. [Reflex Vision 3.0.2] - 100번만 사용해볼수 있는 쉐어웨어입니다. '다음'같은곳에서 검색하시면 나옵니다. (그러나 크랙이 너무 쉽게 노출 되어있더군요..-0-;;;;;; 허걱;;)


설치 순서는 저 위순서대로 하시면 되며,

1. [FlyakiteOSX 3.5]의 경우, 비스타 호환이 안된다는 얘기가 있습니다.

설치하실때 Create System Restore Point부분에는 다 체크 해주시되,

Software부분이였나??(죄송 잘기억이 ㅡ,.ㅡ;) Object Dock과 RKLauncher는 반드시 체크해제해주세요. 이걸 설치 안하고 Rocket Dock을 사용하기 위해서입니다.

다른 체크부분은 다 체크 하시는게 나은것 같더군요.

그리고 Extra option 부분에서는 Use 128*128 어쩌구로 체크해주시고(제 스크린샷 바탕화면에 있는 아이콘이 128사이즈입니다.),

use widescreen boot screen은 와이드 모니터 사용중이시라면 체크해주시구요 그밑에 다른건 체크하지 말아주세요.

특히 젤 하단 Show 'Administrator' 어쩌구는.......하지마세요 -.-; (이걸 하면 윈도우 설정 바꾸기전까진 계정이 하나뿐인데도 계정 선택해야만 로그온 됩니다. 참 귀찮게 하는 옵션인듯......)

설치 끝나시면 재부팅해주세요.

(이분 블로그에 가시면 각 옵션들이 뭐에 쓰는건지 전부 알수 있습니다~ 이런 아름다운 분이 있기에 아직 세상은......

-> http://blog.naver.com/kyoungjin666?Redirect=Log&logNo=20037440418)


2. [Rocket Dock]은 윈도우 하단에 자신이 원하는 프로그램 및 폴더를 위치시키는 프로그램입니다. (거기다 한글판~)

일명 Dock이라고 하구요. 제가 Dock을 여러 프로그램 다 깔아봤는데 Rocket Dock이 제일 나은것 같더군요.

암튼..Rocket Dock 위 링크에서 받아서 설치하시구요.

이것만 해서는 스크린샷에 위로 쭈욱 뻗은 것처럼 해당 폴더 내용을 보여주는 어여쁜 기능을 쓸수 없습니다.

이건 MAC OS X의 레오파드에 있는 Dock의 기능인데.. 이걸 Rocket Dock에 애드온인 stack docklet으로 사용하는겁니다.

3. [stack docklet]을 다운 하신후에 Rocket Dock이 깔려 있는곳에 Docklets이란 폴더 안에 넣어주세요.

제 경우에는 C:\Program Files\RocketDock\Docklets\StackDocklet이란 폴더안에 StackDocklet.dll파일 하나와 Images라는 폴더 하나가 위치하게 됩니다.

Stack Docket은 실행된 Rocket Dock에 오른쪽 마우스 클릭 -> 아이템추가 -> 메뉴 하단에 Stack Docklet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Rocket Dock에 사용되는 모든 이미지들은 다 바꿀수 있으며 또한 입맛대로 설정 가능합니다.

거기다 Rocket Dock 사이트에 가시면 Dock의 배경까지 다양하게 다운가능합니다. (배경 스킨 다운 : http://rocketdock.com/addons/skins)

그리고 원하는 프로그램을 Dock을 처음 끌어오시면 아이콘이 흐릿할겁니다. 이건 아이콘 사이즈때문인데요.

메뉴에 아이콘 설정에서 아이콘을 바꿔주시면 됩니다. Rocket Dock 사이트를 비롯 마이테마쩜넷 같은 사이트에서도 수많은 이쁜~ 아이콘들을 다운 받으실수 있습니다.

참고로 Dock설정창에서 '실행중인 창을 Dock으로 최소화'에 체크하시면, 프로그램 사용중에 최소화할시 Dock 가장 우측에 와서 붙습니다. 전 자주 애용하는.. ^^


4. [Reflex Vision]은 쉐어웨어라 100번 밖에 사용할수 없으므로..각자 구하셔야 합니다..

일단 프로그램 자체는 심파일이나 다음등에 있습니다만...

MAC의 프로그램 창간이동을 돕는 이런 프로그램을 익스포제(엑스포제)라고 하는데 거의 프리웨어는 없습니다.

있다하더라도 성능에 문제가 있구요. 또한 Reflex Vision이 가장 가볍습니다.

어쨌든 이 프로그램을 쉐어웨어로 쓰시던 잘 검색 하셔서 어둠의 루트로 구하셨던지 구하셨다면 그냥 설치 하시면 됩니다.

(아아..프로그래머로써 이렇게 쉽게 구할수 있다는게 씁쓸하기도 하네요...사실 실제 구입해도 얼마 안하니까 한번 써보시고 맘에 들면 사서 쓰시는것도 한층 세상을 풍요롭게 살수 있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중요한건 창간 이동시 단축키 설정인데요. 기본은 F9, F10, F11로 되어있습니다.

F9은 현재 열린 모든 프로그램을 보여주며, F10은 자신이 보고 있는 프로그램과 같은 종류만 보여줍니다.(폴더를 보고 있다면 현재 열린 모든 폴더만 보여줍니다.)

F11은 바탕화면 보기입니다.

물론 단축키 설정은 마음대로 바꿀수 있고, 또한 마우스로 특정 위치에 위치시키면 발동되도록 설정 가능합니다.

참고로 다른 단축키를 쓰시려면 Reflex vision setting 하는곳에서(작업표시줄 우측 트레이부분에 있습니다.) Inovocation 탭에

Use function keys to activate reflex vision을 체크해제 하셔야합니다.

그리고 use custom hotkeys to activate reflex vision을 체크하신 후 바로 옆에 Define Hotkeys...를 누르시고 원하시는 키 설정하시면 됩니다.

또한 Updating 탭에 Don't update 부분들은 절대 하지 마세요 이거 하시면 창들이 하나도 안뜹니다 -.-;

이 프로그램이 좀 느리다 싶으신 분들은 Preview Quality탭에 퀄리티 설정을 Medium이나 Low로 해주세요.

Medium이 속도도 빠르고 좋더군요. 그리고 Store previews in video memory 이거....체크해두면 하드웨어에 따라 프로그램 그냥 종료되니 체크해제 하시는게 나을겁니다.

Smooth lower quality previews나 Take regions into account when capturing previews는 성능에 별 영향 없으니 켜두세요~

Animation탭에 Animation spped를 Fast에 가깝게 할수록 창이 빨리 뜹니다.

Titles탭에 Show all window title을 체크하시면 모든 창을 볼때 각 창마다 모두 해당 창의 이름이 떠서 쉽게 창 간 이동이 가능해집니다.


다 설치하고 설정 하셨다면 완전하게 바뀐 새로운 XP에서 작업을 하실수 있습니다~~~

전 너무너무 맘에 드네요 ^^

저처럼 MAC의 이쁜 디자인이 부러우셨던 분 혹은 XP 디자인의 질리신 분들은 부디 잘 설치하시고 입맛대로 옵션을 바꿔서 꼭 아름다운 윈도우 사용에 한 보탬이 되시길 바랍니다~~


p.s 실행된 폴더 및 인터넷 창 최상단 부분을 오른쪽 마우스로 클릭하시면 제목표시줄만 남고 줄어듭니다.

다시 오른쪽 마우스 클릭하시면 되돌아오는데 이게 무척 편하더군요!!!!!!

FlyakiteOSX에 동봉된 WinRoll이란 프로그램입니다.


p.s 파일을 더블 클릭하면 해당 파일이 커지면서 흐릿해지는 효과가 생깁니다.

역시 FlyakiteOSX에 동봉된 UberIcon이란 프로그램입니다.


p.s 폴더들 외곽에 그림자가 생깁니다.

역시 FlyakiteOSX에 동봉된 Y'z shadow란 프로그램입니다.


각 프로그램들은 작업표시줄 우측 트레이에 위치하므로 언제든 옵션설정을 통해 효과를 바꾸던지 해제시킬수 있습니다. ^^

 

p.s 만약 Tiger라는 테마가 추가되지 않아서 위 그림과 다른 이미지가 나온다면 그건 테마적용이 안되서입니다.

XP sp1~2 테마 추가 방법 : http://blog.naver.com/badpark/90025396231

XP sp3 테마 추가 방법 : http://blog.naver.com/badpark/90030574659

테마를 추가할수 있게 패치 하신후 바탕화면에 오른쪽마우스->속성->화면배색->창 및 단추->Tiger로 바꿔주세요

 
Posted by 곽성호(자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