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분투 8.04에서 Virtualbox 설치하기
우분투 10.04 (리눅스) / 2008. 12. 8. 13:20
이제 virtualbox를 설치하고 가상머신 안에 Windows XP Professional을 설치해보자!!
1. 아래 싸이트에서 자신의 사양에 맞는 버전을 다운 받거나 저장소를 이용하여 virtualbox를 쉽게 설치할 수 있다.
http://www.virtualbox.org/wiki/Linux_Downloads
Vowel : http://vowel.tistory.com
2. 그룹 설정
2.1 시스템 > 관리 > 사용자와 그룹 을 실행하여 잠금을 풀고 그룹 관리를 클릭한다.

2.2 vboxusers 에 대한 속성을 클릭한다.

2.3 자신의 아이디를 체크하고 확인을 클릭한다.

3. 프로그램 > 시스템 도구 > Sun xVM VirtualBox 을 실행한다.

4. 환경 설정
4.1 파일 > 환경 설정 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4.2 터미널에서 아래를 실행한 후
sudo gedit /etc/fstab4.3 아래 라인을 마지막에 추가하고 재부팅한다.
none /proc/bus/usb usbfs devgid=1000,devmode=664 0 04.4 이제 각자 환경에 맞게 설정한다. 기본 폴더는 웬만하면 용량이 충분한 파티션에 두도록 하고 호스트 키가 무엇인지 확실히 기억해두자.

5. Windows 설치
5.1 이제 새로 만들기 를 클릭하고 Windows XP Professional을 설치하기 위한 설정을 하자. 운영체제 종류에 Windows XP를 선택하고 각자 원하는 가상 머신 이름을 입력한다.

5.2 메모리는 자신의 메모리의 반 정도로 설정해 주면 된다. 메모리가 1기가라면 512메가 정도로 설정해주되 최소 192메가 이상은 되게 잡아 주는 것이 좋다.

5.3 가상 하드 디스크에서 새로 만들기를 클릭한다.

5.4 가상 디스크 이미지 종류는 각자 원하는 것을 선택하면 되지만 웬만하면 동적 크기 이미지 를 선택하는 게 좋다.

5.5 가상 디스크 위치와 크기는 윈도우로 쓸 하드 디스크의 용량을 설정해주는 곳이다. 최소 4~5기가 정도는 주고 넉넉하게 10기가 정도 주도록 하자.

6. 모두 마쳤으면 새로 만들기 옆에 있는 설정을 클릭한다.
6.1 일반 : 비디오 메모리 크기 또한 자신의 비디오 메모리의 반정도로 설정해준다.
6.2 CD/DVD-ROM : CD/DVD 드라이브 마운트를 체크하고
6.3 오디오 : 오디오 사용을 체크하고 호스트 오디오 드라이버에 ALSA 오디오 드라이버를 선택한다.
6.4 USB : USB 컨트롤러 사용을 체크하고 필요한 USB장치를 추가해준다. 키보드나 마우스는 추가해 줄 필요가 없다.

7. 설정이 모두 끝났으면 이제 CD나 iso 이미지를 이용하여 시작을 눌러 윈도우를 설치한다. 아래는 virtualbox에서 Windows XP Professional이 설치되는 화면이다.

8. 설치가 끝났으면 평소에 윈도우에 설치하는 것처럼 일일이 드라이버를 설치할 필요없이 게스트 확장이란 것을 설치하면 된다. 메뉴에서 장치 > 게스트 확장 설치 를 눌러 설치하자.
9. 공유 폴더 설정
9.1 윈도우를 일단 종료하고 설정 > 공유 폴더로 이동해서 오른쪽에 +폴더로 되어있는 아이콘을 클릭해서 공유 폴더로 사용할 폴더 경로와 폴더 이름을 정해준다.

9.2 그리고 윈도우를 부팅 후 시작 > 실행 창에서 cmd를 실행 후 다음과 같은 명령을 실행한다. 띄어쓰기를 정확히 해줘야 한다.
net use x: \\vboxsvr\폴더 이름
설치 완료 후 스샷!!
'우분투 10.04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분투 8.04 에서 삼바로 윈도우 공유프린터 설치하기 (0) | 2008.12.16 |
---|---|
우분투 8.04에서 IPOD 사용하기 - gtkpod (0) | 2008.12.12 |
우분투에서 압축파일 풀기 (0) | 2008.12.07 |
Mplayer 단축키 (0) | 2008.12.06 |
우분투 8.04에서 Avant Window Navigator 설치하기 (0) | 2008.1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