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망치한 |
|
|
|
|
脣 |
亡 |
齒 |
寒 |
입술 순 |
잃을 망 |
이빨 치 |
찰 한 |
|
|
입술이 없어지면 이빨이 시리다. 떼려야 뗄 수 없는 밀접한 관계, 어느 한쪽이 멸망하면 다른 한쪽도 위태로워지는 관계를 말한다.
|
|
|
[고사성어의 유래] |
춘추 시대 때, 진나라 헌공(獻公)은 주변의 작은 나라들을 병합해 나갔다. 그는 괵(虢)나라를 치려고 했는데, 그러자면 우나라를
지나가야 했다. 그래서 헌공은 괵나라로 가는 길을 빌려주면 많은 재물을 주겠다고 제의했다. 우공이 진나라에게 길을 내주려고 하자
신하 궁지기(宮之奇)가 간했다.
「괵은 우나라의 외곽입니다. 괵나라가 망하면 우나라도 반드시 망하게 됩니다. 진나라에게 길을 열어 주어서는 안 됩니다. 전에
한번 길을 내준 것도 심한 경우인데, 어찌 다시 할 수 있습니까? 속담에 <수레의 바퀴와 그 바퀴에 대는 보조 판자는 서로
의지하고(輔車相依), 입술이 없어지면 이빨이 시리다(脣亡齒寒)>고 말했는데, 이는 바로 우나라와 괵나라를 두고 말한
것입니다.」
하지만 진나라의 뇌물에 눈이 어두워진 우공은 궁지기의 말을 따르지 않고 우나라에 길을 내주었다. 화가 미칠 걸 두려워 한 궁지기는 가족들을 이끌고 우나라를 도망치면서 이렇게 말했다.
「우나라는 올해를 넘기지 못할 것이다.」
과연 진나라는 괵을 멸망시킨 뒤, 돌아오는 길에 우나라도 공격해서 멸망시켰다.
순망치한 은 순치보거(脣齒輔車)로도 쓰이는데, 이 말은 위에 나온 속담 전체를 축약한 것이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