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부엉이쌤의 나라말, 우분투, 국어교육 곽성호(자유)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1642)
일상 (26)
오늘의 명언 (300)
문화사랑방 (81)
우리말사랑 (162)
유니텔 시사한자 (10)
아하그렇구나 (47)
동영상 (0)
거꾸로교실 (3)
1교시 국어영역 (272)
꿈꾸는 정원사 (70)
부엉이쌤의 수업이야기 (17)
성공하는 사람들의 습관 (21)
컴도사 (116)
도종환의 엽서 (6)
좋은글좋은생각 (111)
잼난야그 ㅣ 심테 (1)
오픈오피스 3.2 (53)
우분투 10.04 (리눅스) (296)
2009 남목고 (39)
백업2015 (1)
Total
Today
Yesterday

'교과서 지문'에 해당되는 글 3건

  1. 2009.04.28 디딤돌 문학 (하) 교과서 지문
  2. 2009.04.28 디딤돌 문학 (상) 교과서 지문
  3. 2009.04.28 고등 국어 (하) 교과서 본문


1. 문학 문화의 특성

(1) 국어 문화와 문학 문화 (2) 문학의 소통

 

작가가 작품을 창작하면 출판사는 그것을 출판하고, 독자는 서점에서 작품을 사서 읽고, 비평가는 어떤 작품이 좋은가를 평가하고, 학교에서는 문학을 가르치는 등 여러 가지 일이 사회 내에서 자율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작가의 창작은 표현하고자 하는 욕구에 따른 자발적인 활동이므로 자율적이다. 출판사 역시 이익의 실현과 사회에의 기여를 동시에 겨냥하여 자율적으로 작품을 선정하여 출판한다. 신문과 방송은 새로운 작품을 전문가의 평과 함께 소개하고, 독자는 문학을 향유하기 위해 작품을 구입하여 감상한다. 여기에는 비평가의 안내도 도움이 된다. 요컨대 문학을 중심으로 자율적 공동체가 성립되어 있는 것이다.

우리는 누구나 이 자율적 공동체의 일원이다. 여기에 참여함으로써 우리는 문학이 작가의 손에서 독자의 손으로, 나아가 독자들의 논의의 장으로 옮겨 가는 소통에 참여하게 된다. 이 소통에의 참여를 통해 우리 개개인도 발전하고 사회도 한층 성숙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 자율적인 문학 공동체는 민족 공동체이기도 하다. 한국 문학의 공동체는 우리말과 글을 함께 쓰는 민족 공동체인 것이다. 따라서 문학 공동체는 국어 생활 내지는 국어 문화와 밀접한 관련을 맺지 않을 수 없으며, 민족이 역사적으로 창조해 온 문학을 중심으로 한 공동체가 될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우리는 작품 자체만이 아니라 작품이 개인과 사회와 맺고 있는 많은 맥락들은 물론 작품과 작품끼리 통시적․공시적으로 맺고 있는 맥락도 이해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단원 활동을 통해

․국어 문화와 문학 문화를 이해하고 생활 속에서 실천할 수 있다.

․국어 생활 속에서 문학 활동을 실천할 수 있다.

․한국 문학의 전통에 입각한 문학 활동을 할 수 있다.

․문학의 소통을 이해하고 능동적인 소통 활동을 할 수 있다.

02 규원가(閨怨歌) - 허난설헌

01 이야기 주머니 - 박광철 구연, 서대석 채록

(2) 문학의 소통

02 겨레의 기억과 그 전수 - 유종호

01 삼옹주(三翁主)에게 외 - 선조 대왕 외

(1) 국어 문화와 문학 문화

1. 문학 문화의 특성

Posted by 곽성호(자유)
, |


1. 문학의 특성

(1) 문학과 언어 (2) 문학과 삶 (3) 문학의 구조

 

문학은 그 개념이 매우 복잡해서 명료하게 그것을 정리하여 이해하기가 쉽지 않다. 대체로 문학의 개념을 알고자 할 때에는 문학이 지닌 본질적인 특성들을 살펴봄으로써 문학의 개념을 간접적으로 이해하는 방법을 택하게 된다.

문학은 언어를 표현 수단으로 삼는다. 문학의 언어는 단순히 의미를 전달하는 것이라기보다 생각과 느낌을 전달한다. 이렇게 말할 때 언어는 표현의 매체가 된다. 문학이 언어를 매체로 한다는 점에서 문학은 다른 예술과 구별될 뿐 아니라, 표현한다는 점에서 다른 과학과도 구별된다.

문학이 소재로 삼는 것은 우리 인간의 삶이다. 사람은 누구나 제각기 조금씩 다른 삶을 영위하며 살아가게 된다. 문학에서는 개인의 특수하고 가치 있는 체험을 바탕으로 인간의 보편적 삶과 합일하는 체험을 소재로 표현하게 된다.

또 문학은 인지적, 정의적, 심미적 요소가 복합적으로 결합된 구조물이다. 한 편의 시는 언어를 통하여 작가의 생각과 느낌을 표현하고 있을 뿐 아니라, 리듬․이미지․비유 등의 독특한 문학적 장치들을 통하여 독자로 하여금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도록 해 준다.

일반적으로 ‘문학은 인간의 가치 있는 체험을 말과 글로 표현한 예술이다.’라고 정의할 수 있다. 물론 이것이 문학에 대한 완벽한 정의가 될 수는 없다. 다만 문학을 이렇게 정의하게 되기까지에는 문학의 본질적 특성이 어떤 것인가를 충분히 고려하여 그 내용을 반영한 것이라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이 단원에서는 문학은 언어와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 또 문학은 우리의 삶과 어떻게 관련되는지, 그리고 문학이 여러 가지 요소들을 어떻게 복합적으로 결합하고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단원 활동을 통해

․문학이 언어를 표현 매체로 하는 예술의 한 형태임을 이해할 수 있다.

․문학이 인간의 다양한 삶의 모습을 형상화하고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문학이 인지적, 정의적, 심미적 구조물임을 이해할 수 있다.

● 준비 학습

 

■ 다음 두 작품을 감상하고, 아래의 활동을 해 보자.

(가) 재 너머 成勸農(성권롱) 집의 술 닉닷 말 어제 듯고,

누은 쇼 발로 박차 언치 노하 지즐 고

아야 네 勸農(권롱) 겨시냐 鄭座首(정좌수) 왓다 여라.

- 정철의 시조

 

(나)

 

 

 

 

 

 

 

 

 

 

김홍도의 ‘기우선인(騎牛仙人)’

1. (가), (나)의 표현 매체는 각각 무엇인가?

 

 

2. (가)와 (나)에서 느낄 수 있는 아름다움을 형식과 내용의 측면으로 나누어 이야기해 보고, 다음 표를 완성해 보자.

 

형식의 아름다움

내용의 아름다움

(가)

 

여유 있고 낙천적인 삶의 자세

(나)

부드러운 곡선, 여백

 

Posted by 곽성호(자유)
, |
고등 국어(하)
 
1단원 국어의 뿌리와 줄기
 
국어는 아득한 먼 옛날 우리 조상들이 한반도와 그 일대에 뿌리를 내리고 살기 시작한 때에 형성되었다. 그러나 고대의 언어 생활을 알 수 있는 자료가 거의 남아 있지 않아서 국어의 뿌리는 무엇이며, 어떤 모습으로 변모해 왔는지 분명하게 알기 어렵다. 이런 점에 유념하면서 우리 조상들의 언어가 어떠했을지 그 당시의 상황을 상상해 보자.
종합적인 표기 체계 - 향찰(鄕札)
 
서동요(薯童謠)
 
善化公主主隱 선화 공주님은
他密只嫁良置古 남 몰래 결혼하고
薯童房乙 맛둥서방을
夜矣卯乙抱遣去如 밤에 몰래 안고 가다.
 
세종 어제 훈민정음(世宗御製訓民正音)
 
世․솅 宗튓 御․툍 製․튌 訓․훈民민正․졍音?
 
나․랏:말턲․미 中쿶國․귁․에 달․아, 文문字․퉯․와 ․로 서르 턢큜․디 아․니 퍞․텈, ․이런 젼․틍․로 어 ․린 百․?姓․셩․이 니르․고․져 ․퍴 ․배 이․셔․도, 큖 ․틐:내 제 ․퀈․들 시․러 펴․디 :? 퍠 ․노․미 하 ․니․라. ․내 ․이․퀪 爲․윙․퍛․야 :어엿․비 너․겨, ․새․로 ․스․믈여․쿿 字․퉯․퀪 큨․캱노․니, :사퀬:마 ․다 :퍥․툙 :수․턚 니․겨 ․날․로 ․텿․메 便탌安퇮․팂 퍛․고․져 퍠 ?퀦․미니․라.
-
Posted by 곽성호(자유)
, |